본문 바로가기

ing.

재무비율분석(EPS,BPS,PER,ROA,ROE)

1.주당순이익 EPS(Earning Per Share) : :당기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눈 값.

 

>주당순이익은 당기순이익 규모가 늘면 높아지게 되고 전환사채의 주식전환이나 증자로 주식수가 많아지면

  낮아자개 된다. 주당순이익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경영실적이 양호하다는 뜻이며, 배당 여력도 많으므로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주식시장의 패턴이 기업의 수익성을 중시하는 쪽으로 바뀌면서 주당순이익의 크기가 중용시되고 있다. 이른바

  블루칩으로 불리는 대형우량주의 주가가 고가이면서도 여전히 선호되고 있는 이유도 바로 주당순이익이 높은

  데서 비롯된다.

 

  주당순이익이 상승하고 있는 기업은 주로 신기술.신제품의 시장배력이 절정으로 치닫고 있는 경우가 많다.

 

 

2.주당순자산 BPS(Book-value Per Share) : 주당 순자산가치는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것이다.

 

  >기업의 총자산에서 총부채를 뺀 것이 자기자본인데, 여기서 상표권, 영업권 등 무형고정자산과 배당금, 임원상여금

    등 사외유출분을 제외하면 "순자산" 이 된다.

   

    순자산을 발행주식수로 나눠 산출한 것이 주당순자산가치(BPS)로, "청산가치" 라고도 불린다.

   

    주당순자산가치가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의 비중이 크고 실제 투자가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주당 순자산가치는 기업내용의 충실도와 직결될 뿐 아니라 자산충실도가 주가에 얼마나 반영돼 있는지를

    나타내는 척도다.

 

 

 

3. 주가수익비율 PER(Price Earning Ratio)

    : 현재의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것이다. 주가가 주당순이익의 몇 배인가를 나타낸 것으로 투자판단의

      지표로 사용된다. 예를들어 A사의 주가가 3만원, 1주당 순이익이 3천원이면 PER은 10(배)이다. 주당순이익이란

      1회계연도에 발생한 당기순이익(세 공제 후)를 총발행 주식수로 나눈 것으로 1주가 1년동안 벌어들인 수익력을

      나타낸다.

 

     PER이 높으면 기업이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이익에 비해 주가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반대로 PER이 낮으면 이익에

     비해 주가가 낮게 평가되었음을 의미하므로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도 크다. 비교는 동일업종과 같이 PER을 분석해야

     한다.

 

     TIP : -PER이 낮으면 대부분 주가는 저평가

            -기업의 성장성, 수익성 등을 평가

            -PER은 "투자원금회수기간"을 의미

            -PER의 역수는 "기대수익율"을 의미

 

     PER이 높다면

            1.주당순이익은 일정하고 주가가 높은 경우->기업의 성장가능성 높게 평가

            2.주가는 일정하고 주당순이익이 낮은 경우->기업의 수익성 악화

  

      (예) 주가가, 10000원이고 주당순익이 1000원인 기업이라면, 현재PER는 10배가 되고, 이는 투자원금회수기간이

            10년(왜냐하면 10000원 주고 매입하여 매년 1000원씩 회수)이고, 기대수익률이 10%(왜냐하면 10000원 주고

             매입하여 한해 1000원의 수익발생)인 기업으로 해석이 가능합니다.

 

 

   

4.자산수익률 ROA(Return ON Assets)

  :ROA는 기업의 총자산에서 당기순이익을 얼마나 올렸는지를 가늠하는 지표이다.

 

  >기업의 일정기간 순이익을 자산총액으로 나누어 계산한 수치로, 특정기업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했느냐를

    나타낸다.

 

    금융기기관에 있어서는 특정 금융기관이 총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했느냐를 나타내는 지표를 말하며, 금융가기

    관이 보유자산을 대출, 유가증권 등에 운용해 실질적으로 얼마만큼의 순익을 창출했는지를 가리킨다.  

 

 

 

5.자기자본이익률 ROE(Return On Equity)

  : 경영자가 기업에 투자된 자본을 사용하여 이익을 어느 정도 올리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기업의 이익창출능력으로 자기자본

    수익률이라고도 한다. 산출방식은 기업의 당기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뒤 100을 곱한 수치이다. 예를 들어 자기자본

    이익률이 10%라면 주주가 연초에 1000원을 투자했더니 연말에 100원의 이익을 냈다는 뜻이다.

 

   기간이익으로는 경상이익, 세전순이익, 세후순이익 등이 이용되며, 자기자본은 기초와 기말의 순자산액의 단순평균을 이용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기간 중에 증.감자가 있을 경우 평균잔고를 대략적으로 추정하기 위한 것이다. 기간 중에 증.감자

   가 없었다면 기초잔고를 이용해도 된다.

 

   자기자본이익률이 높은 기업은 자본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이익을 많이 내는 기업으로 주가도 높게 형성되는 경향이 있어

   투자지표로 활용된다. 투자자 입장에서 보면 자기자본이익률이 시중금리보다 높아야 투자자금의 조달비용을 넘어서는 순이

   익을 낼 수 있으므로 기업투자의 의미가 있다. 기중금리보다 낮으면 투자자금을 은행에 예금하는 것이 더 낫기 때문이다.

 

 

 

*.기본분석의 한계점

   a.내재가치의 다양성 여부 : 내재가치에 대한 평가는 주관적

  

   b.내재가치의 적정성 여부 : 재무제표가 회계처기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c.분석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림

 


link : http://cafe.naver.com/bomulsum/6642


반응형